너무 일찍 나이 들어버린 너무 늦게 깨달아버린. 고든 리빙스턴. p240
too soon old too late smart
그는 절대로 설교하거나 판단하지 않았습니다
그는 우리가 마음대로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다고 경고하는 동시에 아직도 선택이 남아 있다고 상기시킵니다.
#1 이 세상에서 진실로부터 도망칠 수 있는 사람은 없다
어머니는 ‘순간에 충실하지 못했던’ 자신을 용서할 수 없었습니다(잠시 입양기관 위탁? 입양과 이별)
당당하게 맞서고 받아들여야 합니다. 그래야 자유로워질 수 있습니다(저항=스트레스=고장)
#2 비상한 용기 없이는 불행의 늪을 건널 수 없다
누구나 불행을 피해갈 수는 없지만, 그렇다고 이겨내지 못할 불행도 없다
실패의 위험에 대한 두려움, 직접 모험 대신 영화나 텔레비전 대리만족의 삶? 안전만을 추구하는 생활태도가 가져다준 씁쓸한 선물!
절망에 빠진 사람들은 당연히 자기중심적입니다(자기파괴에 함축된 이기주의와 분노)
가지고 싶은 것이 너무나 많은 풍요로운 시대? 거대한 군중의 틈바구니에서 상대적으로 더 큰 상실감과 고립감(풍요속 빈곤)
#3 가장 견고한 감옥은 우리 스스로 만드는 것이다
어떤 일을 망치는 가장 큰 원인은 두려움이다. 그리고 이 두려움은 누가 우리에게 준 것이 아니라 우리 스스로 만들어낸 것이다
실패의 원인? (나약한 의지는 쏙 빼놓은 채) 남의 탓만!
성공의 가능성과 기대감을 낮추는 두려움(기대를 낮게 가짐으로써 쓰디쓴 절망감에서 벗어나려고 하지요)
“저 자식, 억세게 운이 좋군.”(그들은 성공을 원하지만실제 행동에는 인색합니다)
복권인생, 공상? 변화에 필요한 용기를 발휘할 의지 확인
사람들은 주로 생각, 바람, 의도가 생긴 것을 변화로 착각합니다!
꿈은 현실 속에서 이루어질 때 가장 값진 것입니다.
#4 완벽주의? 동료로서는 좋지만 친구로서는 꺼려지는 법이다(인간관계에 오히려 해가 된다)
“인생은 언제나 예측불허, 그리하여 생은 의미를 갖는다”(인생은 비선형적,양자적 사고를 하라!)
어떤 일을 할 때 완벽주의자는 자신의 뜻대로 하기를 바랍니다. 그래서 사사건건 간섭을 합니다. 이것은 결혼생활이나 일에 똑같이 해당됩니다. 조금만 완벽주의에서 벗어나면 인생이 훨씬 행복할 수 있습니다.
#5 사랑은 인생에 처방하는 가장 강력한 진통제다
인간이 견뎌야 할 모든 시련에 대한 보상으로 주어지는 것도 바로 사랑이다
#6 좋은 일이 일어나는 데에는 시간과 인내가 필요하다
나쁜 일에 빠져드는 데에는 시간이 걸리지 않지만, 거기서 벗어나는 데에는 상당한 인내가 필요하다. 좋은 것일수록 그것을 얻는 데에는 긴 시간이 필요한 법이다.
(변화는 결코 쉽게 일어나지 않습니다)
광고에 포위된 우리는 항상 자신의 현재에 불만족하게 됩니다(광고와 소비의 메커니즘)
세상의 모든 일이 그렇듯이 우리를 규정하는 것은 변명이 아니라 행동이다
#7 방황하는 영혼이라고 해서 모두 길을 잃은 것은 아니다
방황? 오히려 행복한 모험일 수 있다
많은 사람들이 미처 가보지 못한 길에 대한 미련을 품고 있는 것 같습니다
#9 같은 행동을 반복하면서 다른 결과를 기대할 수는 없다
초혼보다 높은 재혼 실패율? 마흔 살이 되어도 스무살 때와 다름없이 생각하고 행동한다(사람은 쉽게 바뀌지 않는다?!)
#10 만일 지도가 지형과 다르다면 지도가 잘못된 것이다
사람들을 만나면서 가장 주의깊게 살펴야 할 품성중 하나? 친절함! (배려와 관계를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중요한 역할)
#11 지금 하는 행동이 그 사람의 미래를 말해준다
말과 생각이 아니라 행동이 그 사람에 대해 가장 정확하게 말해준다
“삶의 80퍼센트는 밖으로 드러나 보인다.”-우디 앨런
#12 감정적인 행동을 이상적으로 멈추게 할 수는 없다
우리가 스스로 잘못인 줄 알면서도 어리석은 행동을 반복하는 것은 그 행동이 논리적으로 설명되지 않는 편견이나 아집에서 출발한 것이기 때문이다(설명 vs 설득!)
#13 나에게 일어난 일의 대부분은 나에게 책임이 있다
“어떤 관계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두 사람이 필요하지만, 그 관계를 끝내는 것은 혼자서도 할 수 있다.”
#16 정말로 바꾸고 싶다면 지금 당장 용기를 내야 한다
무언가 불만이 있는데도 부딪쳐 싸워낼 의욕이나 용기가 없어 내버려두고 있다면, 그 사람은 아직 충분히 불만스러운 것이 아닌지도 모른다.
#17 열 번의 변명을 하느니 한 번의 모험을 하는 것이 낫다
(하기 싫은 일엔 이유가 하고 싶은 일엔 방법이 보인다, “왜 하는가?” 대신 “왜 못하는가?” 질문이 답이다)
#19 남을 속이는 것보다 자신을 속이는 것이 더 나쁘다
자기 합리화? 변명일뿐!
#22 아무리 좋은 부모라도 훌륭한 스승이 되기는 어렵다
끊임없이 규칙을 만들고 강요하며 통제해야만 부모로서의 역할을 다하는 것이라고 믿는 사람이 있다
훌륭한 부모가 되고 싶다면 통제하는 대신 따라오게 해야 한다.
#29 시련에 대처하는 방식이 삶의 모습을 결정한다
선택은 자유의지!
#30 용서는 다른 사람이 아니라 나 자신에게 주는 선물이다
용서는 포기나 망각이 아니라 변화를 위한 적극적인 의지이다
이젠 선택의 기회가 점점 적어지고 있다
“너무 일찍 나이 들어버린 너무 늦게 깨달아버린 | 인생의 지혜”에 대한 1개의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