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국의 탄생 | 아사비야, 제국의 시대는 끝나지 않았다

제국의 탄생. 피터 터친. 499쪽 41 현실에서 전제군주(독재자)가 통치할 수 있는 것은 오로지 어떤 집단의 사람들이 그를 지지해주기 때문이다…역설적으로 들리겠지만 억압은 협력을 토대로 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  우리는 서양 사회의 사회조직에 길들여져 사회 권력의 유일한 합법적 원천은 ‘우리 인민’이라고 생각한다. 그 결과 우리는 민주적이지 않은 사회는 힘에 의해서만 유지된다고 생각하는 경향리 있다. 널리 퍼져 있는 이런 … 제국의 탄생 | 아사비야, 제국의 시대는 끝나지 않았다 더보기

21세기 교육 패러다임 | 프로젝트 기반 수업(PBL)

21세기 교육 패러다임 프로젝트 기반 수업(PBL, Project-Based Learning) 창의/비판적 사고력/협동/소통 “학습자는 흥미 있는 문제를 접하게 되면 스스로 탐구하고 사고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존 듀이 현실에서 접하는 문제들은 기말고사에서 접하는 문제들과 달라요 학교에서 배 지식으로 무언가를 할 수 있어야만 합니다 교육면에서 접근할 때 이 모든 것(PBL)이 대안이 될 수 있죠 구성주의? 학습자가 그들 자신의 지식을 끊임없이 구성하며 … 21세기 교육 패러다임 | 프로젝트 기반 수업(PBL) 더보기

이타적 인간의 출현 | 이콘, 시장의 실패

이타적 인간의 출현.최정규. p272 게임이론으로 푸는 인간  본성 진화의 수수께끼 “죄수의 딜레마 게임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뭐? 그 간단한 게임을 3년도 넘게 공부하고 있어?” “뭐? 그 간단한 게임을 6년도 넘게 공부하고 있어?” “이 게임은 평생을 공부해도 모자랄 만큼 심오합니다.” 이 책은 진화적 게임이론을 통해 사회를 바라보는 하나의 시각을 제공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쓰였다 #1 죄수의 딜레마를 넘어서 … 이타적 인간의 출현 | 이콘, 시장의 실패 더보기

마르크스의 자본, 판도라의 상자를 열다 | ‘나’를 뛰어넘어 ‘우리’로

마르크스의 자본, 판도라의 상자를 열다. 강신준. p240 조금 일찍 만났더라면 삶의 방향이 달라졌을 책? 마르크스의 자본! ‘진리’가 중요한 까닭? 우리 삶을 낭비하는 것을 막아주기 때문 청소년기의 후회를 막아줄 고전 ‘자본’, 진리가 책 속에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들 현실의 삶 속에 살아 있는 것임을 알려주는 책 북유럽의 좋은 사회? ‘자본’의 가르침을 충분히 소화한 사회와 그렇지 못한 … 마르크스의 자본, 판도라의 상자를 열다 | ‘나’를 뛰어넘어 ‘우리’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