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를 넘어서 | 학교를 해체하라

학교를 넘어서. 이한. p232. 민들레 원제: 학교를 해체하라 “엄마 학교 가기 싫어요” 아이가 아니라 학교가 문제다!(아이를 설득하려하지만 학교를 바꾸려고 하진 않는 엄마들) 오늘날 학교가 자신의 존재 가치를 외치는 것은 마치 쌀을 매점매석한 뒤 모래를 섞어 팔아먹는 고약한 상인이 자기가 없으면 모두 굶어죽을 것이라고 외치는 것과 같다. “우리는 적을 만났다. 그 적은 바로 우리였다.”-월트 켈리 스스로 … 학교를 넘어서 | 학교를 해체하라 더보기

얘들아! 들꽃 피는 학교에서 놀자 | 남한산학교 이야기

얘들아! 들꽃 피는 학교에서 놀자. 강벼리, 조선혜. p 208 희망제작소. 희망을 여는 사람들 07 안순억 교사와 남한산학교 이야기 ***그들은 도시를 떠나서 지역에 자리 잡고 미래를 향한 큰판을 벌이고 있습니다 “지역에 과연 희망이 있을까?” 희망의 증거, 작은 실천들이 쌓여서 지역의 미래를 바꾸는 이야기들 추억이 사라진 지역공동체와 낯선 고향 땅을 살기 좋고 그리운 고향으로 다시 일으켜 세우는 … 얘들아! 들꽃 피는 학교에서 놀자 | 남한산학교 이야기 더보기

나부터 교육혁명 | 엄마아빠가 달라져야 한다

강수돌 교수의 나부터 교육혁명 p320 엄마 아빠가 달라져야 교육이 살아요 ***우리 사회에서 모든 사람들이 가장 많이 신경 쓰는 분야, 엄청난 시간과 돈과 에너지를 집어넣었는데도 별 다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분야, 교육!!! 그 까닭은? 1)교육문제로만 풀고자 했다,교육-노동-경제-사회를 ‘총체적으로’, 교육문제를 사회적 삶의 연관성 속에서 따져보고 실마리를 찾아야 제대로 풀어헤칠 수 있다 2)철저히 ‘아이들 입장에서’ 생각해야 한다 3)’나부터 … 나부터 교육혁명 | 엄마아빠가 달라져야 한다 더보기

실험 학교 이야기 | 마을이 학교다

실험 학교 이야기. 윤구병 p263 새로운 공동체로 가는 길 ‘공동체 학교’의 초벌그림 현재 농촌에나 산촌에나 어촌에는 미래가 없다. 어디를 가나 마을 공동체에 아이들이 없다. 꿈에서만 그리면 뭘 해, 실현을 해야지. 그러나 꿈이 야무져야 그 꿈을 실현할 길도 열심히 찾게 되는 게 아닐까. 공동체 학교가 중심이 된 마을 공동체. 혼자서 할 수 있는 일은 아니다. 누군가 … 실험 학교 이야기 | 마을이 학교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