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에게 세상을 묻다 | “이 책을 한 페이지도 못 넘기고 잠드는 인간은 통치자가 될 자격이 없다”

버나드 쇼. 이 노인네는 오류를 발견하고 그것을 선례나 환경이 인도하는 대로 고치는 데 일생을 바쳤다. 그러나 당연히 잘못을 모두 바로잡지는 못했다. 그럼에도 나는 특별한 지적 성향을 가진 덕분에 주어진 상황에 마냥 순응할 수만은 없었다.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데까지 가보았다. 나머지는 나보다 더 훌륭한 사람들에게 맡기도록 하겠다. “우물쭈물하다 내 이럴 줄 알았지.” 생의 마지막 … 쇼에게 세상을 묻다 | “이 책을 한 페이지도 못 넘기고 잠드는 인간은 통치자가 될 자격이 없다” 더보기

버나드 쇼-지성의 연대기 | 세상에 하나뿐인 버나드 쇼!

헤스케드 피어슨 “난 내가 흥미를 느끼지 못하면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다.” “배우려는 마음이 없으면 경험하고도 배우지 못한다.” 학교는 교도소만도 못한 곳이었다!기억하기 힘든 내용을 기억하지 못한다고 해서 두들겨 패거나 고문하지 않는다…교도소에서는 신체를 고문할지는 모르지만 뇌를 고문하지는 않는다. 선행상. 나는 심사숙고 끝에 가장 태도가 나쁜 소년 소녀에게 선행상을 주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그 학생들의 수상 이후 경력을 기록하고 그것을 … 버나드 쇼-지성의 연대기 | 세상에 하나뿐인 버나드 쇼! 더보기

미래학교 | 배움의 미래?

학교를 ‘배움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모여 있는 커뮤니티’로 정의한다면, 학교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네모난 건물, 칸칸이 나뉜 교실, 칠판을 바라보고 줄지어 앉는 책상 같은 물리적인 공간…흔히 떠올리는 모습과는 전혀 다른 학교를 상상할 수 있어야 한다.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다. 그리고 우리에게는 더 많은 변화가 필요하다. 효율보다는 효과에 초점을 맞추는 수업을 위해서는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실천적 학습이 … 미래학교 | 배움의 미래? 더보기

학교교육 제4의 길 | 학교교육 변화의 글로벌 성공 사례

학교교육 제4의 길. 앤디 하그리브스·데니스 셜리.  교육에 있어서 단기간의 경제적 수익을 목표로 하는 시장 지향적 개혁은 분명히 잘못된 전략이다. 그릇된 방향이다. 교육 후진국인 미국과 영국 같은 나라에는 지금과는 다른 종류의 개혁이 절실하다. 교육변화 제4의 길. 체제가 일괄 설정하는 성취도 목표 대신, 모두를 위한 교육으로 바꾸려는 도덕적 목표를 공유한다. 문해력과 수학 중심의 교육에서 벗어난다. 교사를 다그칠 … 학교교육 제4의 길 | 학교교육 변화의 글로벌 성공 사례 더보기

작은 학교 학교의 길을 묻다 | ‘작다’? ‘가깝다’!

작은 학교 학교의 길을 묻다. 작은학교교육연대. 작은학교교육연대 11년의 기록 ‘혼자서 꾸는 꿈은 꿈에 그치지만, 여럿이 꾸는 꿈은 현실이 된다’ ‘왜’라는 질문이 없이 ‘어떻게’를 찾는 것은 공허함만을 남긴다 작은학교교육연대의 탄생. 100명 이하의 학교는 당연히 폐교되어야 한다는 논리에서 벗어나 학생 한 명 한 명, 학교 한 곳 한 곳이 얼마나 소중한지 되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한 것이다. 작다는 의미는? … 작은 학교 학교의 길을 묻다 | ‘작다’? ‘가깝다’! 더보기

플립러닝 이해와 실제 | ‘사제’에서 ‘사우’로, 스승이자 벗으로

플립러닝 이해와 실제. 교육과학사. 353쪽 Flipped Learning(거꾸로교실).  ‘뒤집다’? ‘Flip’? 강의와 숙제를 거꾸로 한다. 강의는 동영상을 통해 교실 밖에서, 과제활동은 교실로. 전통적인 수업방식을 뒤집은 수업방식.  이전에 없었던 완전히 새로운 교실수업 방식은 아니다. 동영상 제작이라는 기술의 도움을 받아 교육적 이상으로 회자되어온 학습자 중심교육을 교실수업에서 혁신적으로 구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학생 중심 수업) 주목할 것은, 강의와 숙제를 바꾼다는 단순한 … 플립러닝 이해와 실제 | ‘사제’에서 ‘사우’로, 스승이자 벗으로 더보기

배움이 없는 학교, 프레임을 바꿔라 | 학즉불고(學卽不固)

배움이 없는 학교, 프레임을 바꿔라. 이성대. 336쪽 지금까지 교육에 의미 있는 변화를 불러일으켰던 교육정책들의 특징? 장기적이고 개선을 동반한 개혁과 참여, 그리고 교사들이 진정성을 갖고 주도한 시도들이었다. 당장 수업을 바꾸는 것보다 철학을 이해하고 교사들이 신념과 가치를 갖도록 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성공사례의 오류? 무조건 성공한 사례를 그대로 따라하는 것은 미련한 방법이다. 그 지역의 고유한 문화적 배경과 … 배움이 없는 학교, 프레임을 바꿔라 | 학즉불고(學卽不固) 더보기

21세기 교육 패러다임 | 프로젝트 기반 수업(PBL)

21세기 교육 패러다임 프로젝트 기반 수업(PBL, Project-Based Learning) 창의/비판적 사고력/협동/소통 “학습자는 흥미 있는 문제를 접하게 되면 스스로 탐구하고 사고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존 듀이 현실에서 접하는 문제들은 기말고사에서 접하는 문제들과 달라요 학교에서 배 지식으로 무언가를 할 수 있어야만 합니다 교육면에서 접근할 때 이 모든 것(PBL)이 대안이 될 수 있죠 구성주의? 학습자가 그들 자신의 지식을 끊임없이 구성하며 … 21세기 교육 패러다임 | 프로젝트 기반 수업(PBL) 더보기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것들 | 도서관 단상

“첫사랑에 서툰 이유는 멋진 사랑을 간절히 바라면서도 정작 사랑하는 법을 모르기 때문이다. 사랑에도 학습이 필요하다.”-저우바오우쏭, 『어린왕자의 눈』 주말 세종길. 큰 딸은 그림공부하러. 아빠는 한의원 가서 허리 치료 받고 도서관으로. 허리 상태만큼이나 한결 가벼워진 발걸음으로 찾은 도서관. 역시 더울 땐 최고의 피서지라 할 만합니다. 서고서적 대출 신청하고 기다리는 사이에 잠시 책구경도… 엄청 크고 무겁고 두꺼운 참고서적 … 학교에서 가르치지 않는 것들 | 도서관 단상 더보기

함석헌사상 깊이읽기 3 | 씨알을 만들어내는 농부는 없습니다

함석헌사상 깊이읽기 3. 씨알·생명·평화 .김영호. 711쪽 사회(교육•언론•사회윤리) 교육은 사람(교사·정치가)이 아닌 하늘(생명·씨알)이 하는 것 교육의 원리는 무엇인가. 우선 교육은 인위와 강제보다는 하늘, 자연, 생명에서 나온 씨알처럼 사람을 기르고 가꾸는 것 슬기롭고 밝은 지혜가 거기 스스로 있습니다. 씨알을 만들어내는 농부는 없습니다. 그것은 하늘, 곧 자연만이 만들어냅니다. 교육은 씨알만이 한다는 말을 이런의미에서 한 것입니다. 교육이 잘못되는 것은 그 … 함석헌사상 깊이읽기 3 | 씨알을 만들어내는 농부는 없습니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