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은 흙 속에 있다 | 만유공생
모든 것은 흙 속에 있다. 이영문. p272 이영문 씨는 극히 제한된 범위 안에서 정규 교육을 받은 분이다. 그럼에도 그는 모든 사물을 바라보는 지각이 남달리 뛰어난 분이다. 남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고, 남이 듣지 못하는 것을 들을 수 있고, 남이 생각하지 못하는 일을 생각해 낼 수 있다는 것은 예사로운 일이 아니다. 사실 인류문화는 그런 … 모든 것은 흙 속에 있다 | 만유공생 더보기
모든 것은 흙 속에 있다. 이영문. p272 이영문 씨는 극히 제한된 범위 안에서 정규 교육을 받은 분이다. 그럼에도 그는 모든 사물을 바라보는 지각이 남달리 뛰어난 분이다. 남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볼 수 있고, 남이 듣지 못하는 것을 들을 수 있고, 남이 생각하지 못하는 일을 생각해 낼 수 있다는 것은 예사로운 일이 아니다. 사실 인류문화는 그런 … 모든 것은 흙 속에 있다 | 만유공생 더보기
밥의 인문학. 정혜경. p357 한국인의 역사, 문화, 정서와 함께해온 밥 이야기 #아주 따뜻한 ‘밥’ 한 그릇 건강의 핵심은 어떤 먹을거리를 먹어왔는지, 앞으로 무엇을 먹을 것인지 선택하는 데 있다. 지역환경 조전에 의해 주로 육식과 빵을 선택한 서구는 경제적으로는 선진국일지 몰라도 건강 면에서는 불우하다. 하지만 ‘밥’을 음식의 기반으로 한 우리는 건강 면에서나 문화 면에서 축복받은 민족이다…김이 모락모락 … 밥의 인문학 | 밥은 그저 밥이 아니다 더보기
씨를 훌훌 뿌리는 직파 벼 자연재배. 김광화·장영란. p320 농부가 세상을 바꾼다. 귀농총서 51 #생명, 그 근본에 대한 관심과 사랑 사실 한 사람이 한 해 동안 먹는 쌀이라고 해봐야 얼마나 되겠나. 그나마 돈 주고 사 먹으면 간단한 일을. 하지만 돈 중심으로 세상을 바라보면 모든 걸 돈으로 해결하려 한다. 더 많이 벌어야 하고, 더 많이 쓰려고 한다. … 직파 벼 자연재배 | 농사는 사랑이다 더보기
마을공화국의 꿈, 홍동마을 이야기. 충남발전연구원+홍동마을 사람들. p327 새로운 교육+농업+정치를 일구다 #자치와 생태의 공동체를 지향하는 마을, 홍동 충청남도에 있는 작은 농촌 마을 홍동(행정구역으로 충청남도 홍성군 홍동면)의 이야기. 홍동마을의 겉모습은 우리나라 여느 농촌 풍경과 크게 다를 바 없습니다만, 조금만 들여다보면 다른 곳에서는 보기 힘든 놀랍고 대단한 일들이 수시로 벌어지고 있는 마을이라는 것을 금방 알 수 있을 … 마을공화국의 꿈, 홍동마을 이야기 | 마을이 세계를 구한다! 더보기
큰 차이를 만드는 사소한 차이? ‘틀리다’와 ‘다르다’ 틀리다? 나는 옳고 너는 틀리다, 시시비비를 가리는 논쟁에서 나 잘나고 너 못났다는 다툼으로 끝나기 십상이다. ‘왜’와 ‘무엇을’이 빠진 ‘어떻게’ 다른지에 집중. 다른 생각의 차이를 키운다. 다르다? 나와 다른 생각? ‘왜’,’무엇’이 다른지 알려면 내 야야기보다 경청이 필수. ‘어떻게’는 자연스럽게 따라온다. 다른 생각의 차이가 줄어든다. 다른 생각의 차이를 줄이는 건 … 좋은 팀을 만드는 건 ‘다르다’ 더보기
혼자 꾸면 꿈일 뿐이지만 함께 꾸면 현실이 된다. 사람이 꿈이다! A dream you dream alone is only a dream. A dream you dream together is reality. 사람이 꿈이다 더보기
맛있는 식품법 혁명. 송기호 @song_kiho. p252 식품법 100년이 숨겨운 밥상 위의 비밀과 진실 먹을거리는 마트에서 소비자들을 언제나 기다리고, 사람들은 자신과 그의 자녀들이 먹을 최상의 식품을 결정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것은 어느 한 쪽에서 바라본 일면이다. 소비자는 지갑에서 현금이나 카드를 꺼내 계산할 자유가 있을 뿐이다. 자신이 선택한 식품에 어떤 식품첨가물이 들어 있는지조차 제대로 알 수 없다. … 맛있는 식품법 혁명 | 상식을 배반하는 식품법의 맨얼굴 더보기
보스의 탄생. 린다 A. 힐•켈트 라인벡. p359 리더십은 자신을 도구로 활용하여 일을 처리할 때 발휘된다. 일류 관리자가 되는 열쇠? 솔직한 피드백을 얻는 것 책임은 항상 권한을 초과한다 유능한 관리자들은 일상활동 속에서 조직을 관리한다. 무엇보다도 직원들의 능력개발이 조직관리의 핵심이라는 것이었다. “바로 그것이 제이슨 씨를 그곳에 배치한 이유예요. 리더십을 제대로 발휘한다면 해결하지 못할 문제는 없어요.” 관리는 책임이라고 … 보스의 탄생 | 티핑 포인트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