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은 것이 아름답다 | Big is Subsidised

가을아침의 오랜만의 해의 등교길과 함께 하는 동네한바퀴 산책길. 꼬마꿀벌의 나팔꽃비행도 잠시 구경을 하고 바로 옆, 아랫동네로 발걸음을 옮겨본다. 이른 아침에다 빈집도 여러 집이어서인지 동네가 조용하기만 하다. 오래된 작은창고와 정자가 고즈넉한 아침의 운치를 더한다. 가을햇살 속에서 한창 익어가며 고개를 숙이기 시작한 벼이삭들. 속리산을 든든한 뒷배경으로 하고 있는 아름다운 작은학교. 작은 것이 아름다운 아침 동네한바퀴 산책길 속에서 … 작은 것이 아름답다 | Big is Subsidised 더보기

자꾸만 땅이 죽어간다 | 무늬만 유기농?

다시 돌아온 아침안개가 반가운 아침. 마을총회 준비를 위해 이른 시간 이장님댁을 잠시 다녀온다. 발길이 끊겨서 풀숲이 되어버린 보도랑길로… 여유로운 아침풍경이 살아있다. 그런데…하루사이 밭 한가운데 못보던 것이! 동네 한복판 공장이 더 들어서는지 기초공사가 어느샌가 진행되었나보다. 마을한복판 ‘유기농’ 영농조합법인 공장을 보니 ‘무늬만 유기농’이란 말이 더 어울리는 유기농이 대부분의 유기농이 아닐까 하는 의구심이 어느새 솟구친다. 마을한복판 ‘유기농’ 공장을 … 자꾸만 땅이 죽어간다 | 무늬만 유기농? 더보기

일손은 기계손으로 땅은 공장으로 | 노래가 현실로?

한 십 년쯤 뒤엔 아니 이십 년쯤 뒤엔/ 배추공장 고추공장 콩공장이 생겨/ 라면처럼 비닐봉지에 담겨진/ 배추를 고추를 완두콩을 먹게되진 않을까 – 백창우,「땅」노랫말 중에서 고령화·과소화로 자꾸만 일손이 줄어드는 시골마을엔 부족한 일손을 대신하는 기계손들이 늘어간다. 농기계의 대명사였던 경운기도 이제는 있으나마나,  트랙터나 포크레인이 나서야 일이 된다. 인기작물에서 애물단지가 된 오미자밭 철거작업 뒤엔 고철 쓰레기까지 넘쳐나니 기계손이  아니고서야 일을 … 일손은 기계손으로 땅은 공장으로 | 노래가 현실로?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