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버드 시대의 종말과 학습혁명 | 디지털 교육혁명, 이젠 기술혁신보다 마인드 혁신이 필요하다

하버드 시대의 종말과 학습혁명. 오강선. 246쪽 다툼의 모든 초점은 결국 대입으로…“똑같은 일을 계속 반복하면서 다른 결과가 나오기를 바라는 건 미친 짓이다.”“어떤 문제도 문제를 발생시킨 것과 같은 인식 수준에서는 해결할 수 없다.”우리 사회의 교육을 둘러싼 수많은 갈등과 논란은 사실상 현재의 이해관계 충돌이다. 하지만 교육의 결과는 현재가 아니라 미래의 것이다. #정찬필 #미래교육 이제는 급변하는 사회 환경 속에서 … 하버드 시대의 종말과 학습혁명 | 디지털 교육혁명, 이젠 기술혁신보다 마인드 혁신이 필요하다 더보기

어디서 살 것인가 | 좀 더 화목한 세상을 위하여! 세상을 바꿀 수 있는 도시건축 이야기

어디서 살 것인가. 유현준. 373쪽. 우리가 살고 싶은 곳의 기준을 바꾸다. 현대 도시에서는 소통이 줄어들고 있다. 과거에는 이웃들이 골목길에서 만났다. 하지만 지금은 아파트 복도를 사이에 두고 소통이 사라졌다. 하늘이 보이지 않는 복도는 사람이 모이는 공간이 될 수 없다.  양계장에서는 독수리가 나오지 않는다…우리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학교 건축의 변화가 시급하다. 학교 종이 땡땡땡수렵 채집이나 농경 사회에서는 바이오리듬에 … 어디서 살 것인가 | 좀 더 화목한 세상을 위하여! 세상을 바꿀 수 있는 도시건축 이야기 더보기

공부의 미래 | 자신의 무지를 깨달아라

공부의 미래. 구본권. 246쪽 피난길 봇짐? 쌀가마니, 집문서, 현금 다발, 금붙이를 한껏 이고 지고 피난길을 떠나면 안심할 수 있을까요? 절대 아닙니다. 도리어 누구나 선망하는 이런 물건은 주인을 가장 먼저 위험에 빠뜨릴 것입니다. 가장 안전하고 유용한 생존방법은 어떤 상황에서도 도난과 약탈이 불가능하며 잃어버리지 않을, 자신에게서 떼어놓을 수 없는 그 무엇을 지니는 것입니다…아웃소싱…첨단도구와 외뇌에 담을 수 없어, … 공부의 미래 | 자신의 무지를 깨달아라 더보기

이것은 사업을 위한 최소한의 지식이다 | 숫자 센스

이것은 사업을 위한 최소한의 지식이다. 야마다 신야. 178쪽 비용의 삭감은 ‘퍼센트‘로 생각할 것이 아니라 ‘절대금액‘으로 따져야 한다. 티끌을 모아도 태산이 되지 않는다? 돈에 대한 원칙과 철학이 없은 사람은 비싼 물건을 살 때, ‘1,010만 원이든 1,000만 원이든 큰 차이가 없으니까 판매원이 하라는 대로 하지 뭐!’라고 생각하기 쉽다. (1000원은 아끼지만 10만원은 아끼지 않는다) 변두리 외곽의 고급 프랑스 … 이것은 사업을 위한 최소한의 지식이다 | 숫자 센스 더보기

들뢰즈와 가타리를 통해 유아교육 읽기 | 감응의 교육

들뢰즈와 가타리를 통해 유아교육 읽기. 리세롯 마리엣 올슨. p 이 책은 현대 교육개혁 속에 만연한 담론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담고 있다. 표준화/시험과 같은 절차들을 비판한다. 지식을 안정적이며 규정되어 있고 전수해야 할 것으로 간주하면서, 이러한 지식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결과물을 우위에 두는 도구적 합리성을 비판한다. 근대 학교교육. 학교교육이 발전해온 역사를 되돌아보면, 지난 50년간의 유아교육을 포함하여 근대 학교교육은 … 들뢰즈와 가타리를 통해 유아교육 읽기 | 감응의 교육 더보기

코딩의 귀환 | 아이들이 프로그래밍을 배워야 하는 이유

코딩의 귀환. 야스민 B.카파이 & 퀸 버크.p268 아이들이 프로그래밍을 배워야 하는 이유 모든 교육에는 철학이 있어야 하고 그것을 세우려면 먼저 그 정체를 바로 알아야 합니다. 아이들이 프로그래밍을 배워야 하는 이유가 무엇이라 생각하십니까? 창의력이라고 대답하신다면 1도 모르시는 겁니다. 여기 그 정체가 있습니다. #코딩의 귀환 컴퓨팅적 사고 computational thinking “시스템을 설계하고, 문제를 해결하고, 인간의 행동을 이해하는 방법(행위에 … 코딩의 귀환 | 아이들이 프로그래밍을 배워야 하는 이유 더보기

가족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 돌봄과 배움의 공동체

가족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조한혜정 외. p292 #토건국가를 넘어서 토건의 방법 외에는 나라를 일구는 방법을 모르는 나라에서는 경제 위기를 극복하겠다면서 계속 신도시를 만들고 거대한 아파트를 짓고 있습니다. 불안한 사람들은 비슷한 사람들이 모여 사는 그곳이 그나만 안전하게 느껴져서 아파트로 몰려듭니다. 그래서 아파트 값은 계속 오르고 아파트가 잘 팔리는 상품이 되자 사람들은 더욱 몰려들었습니다. 그러는 사이 아이들의 … 가족에서 학교로 학교에서 마을로 | 돌봄과 배움의 공동체 더보기

포스트 스마트폰, 경계의 붕괴 | All On

포스트 스마트폰, 경계의 붕괴. 김지현. p248 소유의 종말, 연결의 시대가 온다 아날로그 시대의 소유욕? LP 음반 수집, 차곡차곡 쌓여진 LP판을 보며 행복한 소유감을 느낄 수 있었다! 공유와 나눔의 철학에 기반을 둔 상생의 경제, 핵심은 개방의 패러다임 가치 없는 페이지로만 구성된 짧고 기억하기 쉬운 주소를 가진 홈페이지 이제 URL이 중요하지 않다? 페이지는 검색으로 접근가능하다! #현실, 가상, … 포스트 스마트폰, 경계의 붕괴 | All On 더보기

화난 원숭이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 연결하라

화난 원숭이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송인혁, p253 구글의 80:20-20%의 시간에 자기가 하고 싶은 일에 마음껏 몰입할 수 있고, 이것이 80%의 주어진 일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잉여시간? 상사가 부하직원을 제대로 관리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 정작 회사에서 일이 안되는 이유? 직원들의 몰입을 방해하는 2M(Meeting & Manager)-[똑바로 일하라 Rework] 저자 제이슨 프라이드 열정은 가지겠다고 해서 누구나 가질 수 … 화난 원숭이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 연결하라 더보기

소유의 종말 | 연결의 시대

소유의 종말The Age of Access. 제레미 리프킨. p447 “나는 접속한다. 그러므로 존재한다.” 산업 시대는 소유의 시대였다. 이제 소유와 함께 시작되었던 자본주의의 여정은 끝났다. 변하지 않는 것이 없다는 것이 유일한 변하지 않는 것! 시장은 네트워크에게 자리를 내주며 소유는 접속으로 바뀌는 추세다 ‘판매자-구매자’에서’공급자-사용자’관계로 산업생산시대가 가고 문화생산시대가 오고 있다. 노동의식이 유희의식으로, 노동의 상품화가 놀이의 상품화로!(체험경제) 인간문화의 상품화 문화가 … 소유의 종말 | 연결의 시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