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야, 너는 땅바닥에 앉아서 정말 행복스럽구나” | 장난감

타고르의 이런 시를 읽으면 한참 동안 눈이 시리고 마음이 따뜻해진다. 이런 쉬운 말로 이런 고운 시를 쓸 수 있으니, 이런 쉬운 말로 이런 심오한 경고를 할 수 있으니, 사회비평이나 문명비평도 좀더 이렇게 따뜻하게 하고 싶다. 아이야, 너는 땅바닥에 앉아서 정말 행복스럽구나, 아침나절을 줄곧 나무때기를 가지고 놀면서!나는 네가 그런 조그만 나무때기를 갖고 놀고 있는 것을 보고 … “아이야, 너는 땅바닥에 앉아서 정말 행복스럽구나” | 장난감 더보기

“살아온 경험 때문에 많이 오염됐어요. 이 나이에 편견이 없다면 거짓말입니다.”

‘모든 아이들은 천재로 태어난다’ 틀에 박힌 삶의 굴레를 벗어날 수 있는 용기를 길러주기 보다는 점점 더 스스로 그 틀에 옥죄게 만드는 교육, 모든 아이들을 ‘평준화’라는 그럴듯한 명분으로 천재들을 바보로 만들어버리고 있는 것 아닌지… “살아온 경험 때문에 많이 오염됐어요. 이 나이에 편견이 없다면 거짓말입니다.” 더보기

어떻게 해야 공평하게 땅을 할당할 수 있을까? | 그들은 그냥 두어라!

“우리는 토지를 공공의 것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 헨지 조지, 『진보와 빈곤』 부동산 부패척결이 시대정신(?)으로 떠오르는 지금, 톨스토이의 이야기 속에 담긴 헨리 조지의 ‘토지공개념’ 사상이야말로 시대정신의 구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오래된 지혜가 아닐까 싶다. 불행의 원인은 특정한 사람들이 많은 땅을 소유한 데 있다…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필요한 사람에게 공평하게 땅을 할당할 수 있을까?…그러기 위해 땅을 가진 사람들에게서 … 어떻게 해야 공평하게 땅을 할당할 수 있을까? | 그들은 그냥 두어라! 더보기

산천독법 | 속리산 유토피아, 우복동

산천독법. 최원식.  속리산 유토피아세속을 벗어나는 산한 시대에 사회집단이 꿈꾸는 이상적 장소의 담론이 이상향 또는 유토피아다.극락과 천당, 정토와 낙원, 낙토와 복지, 승지와 길지까지, 여기에는 사람들만이 지녔던 이상적 장소에 대한 염원이 담겨 있다. 그런데 그 좋은 곳을 아무나 쉽게 가지도, 어딘지 알지도 못한다는 데에 딜레마가 있다…있긴 있다는데 오리무중으로 도무지 찾을 수 없는 것이다. 속리산 언저리에 있는 이상향 … 산천독법 | 속리산 유토피아, 우복동 더보기

독서당(讀書堂)? 이 시대에 필요한 서당! | 교육의 미래

교육의 오래된 미래? 독서교육을 위한 독서당(讀書堂)! 이 시대에 필요한 서당의 모습이 아닐런지…자율성, 스스로 생각하는 힘을 길러주고. 창의성, 아무도 생각해보지 않는 아주 쉬운 질문을 만들고. 통합적 사고력, 인간과 사회를 다 알아야 정말로 중요한 문제를 만들어낼 수 있고. 패러다임 전환, 사회적으로 요구하는 니즈나 가치 혹은 공감을 통해 가지 않은 길을 가기 위해 필요한 새로운 교육의 미래를 찾아 … 독서당(讀書堂)? 이 시대에 필요한 서당! | 교육의 미래 더보기

순환경제란? | 당신이 생산자와 맺고 있거나, 당신이 당신 농사와 맺고 있는 그 관계가 브랜드입니다

만약 당신이 먹거리를 기르는 농부들과 아주 멀리 떨어져 있다면 거대 기업이 그 중간을 다시 차지할 겁니다. 그들은 자본을 갖고 있고, 대단한 브랜드들을 갖고 있죠. 하지만 먹거리는 모든 곳에서 자랄 수 있어요. 도심에서도 기를 수 있습니다. 다른 제품들과 달리 식량은 우리가 반드시 섭취해야 하는 거고, 그래서 우리 주변에는 꼭 기르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먹는 사람과 기르는 사람이 … 순환경제란? | 당신이 생산자와 맺고 있거나, 당신이 당신 농사와 맺고 있는 그 관계가 브랜드입니다 더보기

가르침의 황금률 | 근사록-교학(敎學)

남을 대접하는 행위에 있어 중요한 것은 자신을 기준으로 할 것이 아니라, 대접을 받는 사람을 기준으로 해야한다. 남을 가르친다는 것은 결국 교육의 내용으로 남을 대접하는 것이므로 배우는 사람이 이해하지 못할 지식을 전달하면 여우가 두루미를 대접하는 것과 다름이 없을 것이다. 가르침의 황금률 | 근사록-교학(敎學) 더보기

미니멀라이프 물건 관리와 정리법 | 나의 물건 정리 철학

미니멀라이프 물건 관리와 정리법. 나의 물건 정리 철학 물건은 사용할 때 비로소 그 가치가 있습니다. 좋아하는 물건만 가지고 홀가분하게 살고 싶습니다. ‘언젠가’는 절대 오지 않습니다. https://photos.app.goo.gl/XPM1gfvStm5faAVf9 미니멀라이프 물건 관리와 정리법 | 나의 물건 정리 철학 더보기

21세기 교육 패러다임 | 프로젝트 기반 수업(PBL)

21세기 교육 패러다임 프로젝트 기반 수업(PBL, Project-Based Learning) 창의/비판적 사고력/협동/소통 “학습자는 흥미 있는 문제를 접하게 되면 스스로 탐구하고 사고하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존 듀이 현실에서 접하는 문제들은 기말고사에서 접하는 문제들과 달라요 학교에서 배 지식으로 무언가를 할 수 있어야만 합니다 교육면에서 접근할 때 이 모든 것(PBL)이 대안이 될 수 있죠 구성주의? 학습자가 그들 자신의 지식을 끊임없이 구성하며 … 21세기 교육 패러다임 | 프로젝트 기반 수업(PBL)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