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의 발견 | 정치학 강의

정치의 발견. 박상훈. p216 정치에서 가능성을 찾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정치학 강의 도서출판 후마니마스 정치란 무엇인가 이 책을 쓴 이유? “쟁점을 해결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논쟁의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다.”-알버트 A. 허쉬만, [열정과 이해관계] 어떻게 하면 우리는 있는 그대로의 인간 현실 속에서도 바람직한 공동체에 대한 희망을 상실하지 않을 수 있을까? 정치가 제공하는 긍정적 가능성에 주목하면서, 정치에 참여하고 … 정치의 발견 | 정치학 강의 더보기

전복적 이성 | 인간해방

전복적 이성. 워너 본펠트. p357 State, Capital, and Class: On Negative and Subversive Reason 포스트신자유주의 시대의 자본, 국가, 계급에 대한 비판적 성찰 사회는 갑자기 순식간에 야만 상태로 다시 돌아간 것처럼 보인다…너무나 많은 문명, 너무나 많은 생존수단, 너무 많은 공업, 너무 많은 상업이 있기 때문이다…부르주아 사회의 조건들은 그 자신에 의해 만들어진 부를 포용하기에는 너무 협소하게 되어 … 전복적 이성 | 인간해방 더보기

청년이여, 마르크스를 읽자 | 통 크게 사고하라

청년이여, 마르크스를 읽자. 우치다 다츠루•이사카와 야스히로. p228 마르크스 안내서, 마르크스에게서 20대의 열정을 배우자 마르크스주의에 사람들이 매료당한 가장 큰 동기는 ‘가난한 사람들, 배를 곯는 사람들, 수탈당한 사람들, 사회적인 불의를 견디는 사람들’에 대한 우리 자신의 ‘양심’입니다 풍요로운 사회? 이런 사회에서 누가 마르크스를 읽겠어요? 마르크스를 읽는 습관을 잃고 미숙해진 국민들! 사회 문제란? ‘어떻게 성숙한 어른을 키워낼 것인가?’라는 문제로 … 청년이여, 마르크스를 읽자 | 통 크게 사고하라 더보기

거꾸로, 희망이다 | 지성에서 길을 찾다

거꾸로, 희망이다. 시사IN북. p359 혼돈의 시대, 한국의 지성 12인에게 길을 묻다 [시사IN] 신년강좌 ‘혼돈의 시대, 위기 속에서 길을 묻다’ 정혜신 선생은 ‘나만 힘든 게 아니었구나, 나만 그런 게 아니었구나’ 하는 깨달음이 사람을 치유한다고 말한다. 문제는 경제 회복이 아니라 자기 회복이라는 걸 자각하라고 권한다. 박원순 변호사에 따르면 희망은 보고자 하는 사람 눈에만 보인다. 깨어 있는 사람이 … 거꾸로, 희망이다 | 지성에서 길을 찾다 더보기

마르크스 그 가능성의 중심 | 자본론 다시 읽기

마르크스 그 가능성의 중심. 가라타니 고진. p256 자본론? 마르크스의 통찰력! 내게 마르크스는 ‘공산주의’자가 아니라 우리가 지금 속한 자본주의 경제가 도대체 무엇인지를 깊이 고찰하고자 한 사람이었다. 자본주의는 사람이 부정한다든가 다른 것으로 대체할 수 있는 ‘주의’가 아니다. 그것은 ‘교환’이라는 데 내재하는 근원적인 패러독스에 의해 잉태된 것으로 오히려 인간의 조건과 관련이 있다. 마르크스의 ‘공산주의’? 사람들은 마르크스의 ‘공산주의’를 종교적이라든가 … 마르크스 그 가능성의 중심 | 자본론 다시 읽기 더보기

경제학을 리콜하라 | 자본주의 경제 해부도

경제학을 리콜하라. 이정전. p400 사회 과학의 여왕에서 불량품으로 전락한 경제학 경제학 제국주의 시대? 깡패 학문? 과학적 체계적? 깡패처럼 남의 학문 영역으로 밀고 들어가서 온통 분탕질을 하고 있다! “금융공학이라는 미꾸라지가 연못 물을 그렇게 온통 흐려놓을 줄은 몰랐다”-한국경제학회 회장 졸부들의 잔치, 시장이 허용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선 인간의 탐욕! 왜 경제학자들은 경제 위기를 예측하지 못하는가? 일반 서민의 … 경제학을 리콜하라 | 자본주의 경제 해부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