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에게 세상을 묻다 | “이 책을 한 페이지도 못 넘기고 잠드는 인간은 통치자가 될 자격이 없다”

버나드 쇼. 이 노인네는 오류를 발견하고 그것을 선례나 환경이 인도하는 대로 고치는 데 일생을 바쳤다. 그러나 당연히 잘못을 모두 바로잡지는 못했다. 그럼에도 나는 특별한 지적 성향을 가진 덕분에 주어진 상황에 마냥 순응할 수만은 없었다. 나는 내가 할 수 있는 데까지 가보았다. 나머지는 나보다 더 훌륭한 사람들에게 맡기도록 하겠다. “우물쭈물하다 내 이럴 줄 알았지.” 생의 마지막 … 쇼에게 세상을 묻다 | “이 책을 한 페이지도 못 넘기고 잠드는 인간은 통치자가 될 자격이 없다” 더보기

버나드 쇼-지성의 연대기 | 세상에 하나뿐인 버나드 쇼!

헤스케드 피어슨 “난 내가 흥미를 느끼지 못하면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다.” “배우려는 마음이 없으면 경험하고도 배우지 못한다.” 학교는 교도소만도 못한 곳이었다!기억하기 힘든 내용을 기억하지 못한다고 해서 두들겨 패거나 고문하지 않는다…교도소에서는 신체를 고문할지는 모르지만 뇌를 고문하지는 않는다. 선행상. 나는 심사숙고 끝에 가장 태도가 나쁜 소년 소녀에게 선행상을 주자고 제안했다. 그러면서 그 학생들의 수상 이후 경력을 기록하고 그것을 … 버나드 쇼-지성의 연대기 | 세상에 하나뿐인 버나드 쇼! 더보기

질문이 있는 교실 | 자유인을 길러내는 교육!

질문이 답이 되는 질문 질문엔 질문으로 답하라/ 질문을 던진 자가/ 스스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이 있는 교실. 바로 자유인을 길러내는 교육입니다. 노예로 길들여진 사람들은 묻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조희연 질문이 세상을 바꾼다? 세상을 바꾼 위대한 역사와 사상은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그 질문의 씨앗이 학교에서 먼저 뿌려지고 열매를 맺어야 함은 시대의 사명이다. ‘지식보다 상상력이 중요하다’는 신념으로 운영되는 … 질문이 있는 교실 | 자유인을 길러내는 교육! 더보기

미래학교 | 배움의 미래?

학교를 ‘배움을 목적으로 하는 사람들이 모여 있는 커뮤니티’로 정의한다면, 학교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네모난 건물, 칸칸이 나뉜 교실, 칠판을 바라보고 줄지어 앉는 책상 같은 물리적인 공간…흔히 떠올리는 모습과는 전혀 다른 학교를 상상할 수 있어야 한다. 변화는 이미 시작되었다. 그리고 우리에게는 더 많은 변화가 필요하다. 효율보다는 효과에 초점을 맞추는 수업을 위해서는 경험을 기반으로 하는 실천적 학습이 … 미래학교 | 배움의 미래? 더보기

언택트 교육의 미래 | 에듀테크 단상?

에듀테크? 새로운 것이 무엇인가? 마케팅 수단일뿐?!“교육은 양동이를 채우는 일이 아니라 불을 붙이는 일이다” 여러 사회 기관 중에서도 학교와 대학은 매우 영속적이면서 보수적인 성향을 띤다…심지어 역사의 전환점에 다다르고서도 학교는 요지부동이었다.“ 컴퓨터지원교육은 성취도 수준과 적성이 다른 학생들 사이에 성취도 격차를 더욱 벌린다”라고 경고했다. 언택트 교육의 미래 | 에듀테크 단상? 더보기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 배움의 열정이야말로 참다운 스승의 덕목이다!

우리들은 으레 ‘온고이지신’이라고 하면 전통과 현대, 과거와 현재의 퓨전같은 것을 떠올립니다. 하지만 공자는 ‘누가 스승이 될 만한가?’라는 문제의식에서 ‘온고이지신’이라는 말을 했습니다.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즐거지 아니한가?’ 배움의 즐거움이 없는 학교교육! 배움의 즐거움과 배움의 열정을 되살려줄 수 있는 스승이 그 어느때보다 절실한 시대. 오래된 ‘서당공부’에서 찾은 가르침의 지혜를 되새겨보게 만드는 구절들입니다.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 | 배움의 열정이야말로 참다운 스승의 덕목이다! 더보기

들꽃은 스스로 자란다 | 들꽃, 너를 닮고 싶구나

들꽃은 스스로 자란다. 주중식. 313쪽샛별초등학교 주중식 교장 선생님의 교육 이야기 같은 길을 걸어가는 이들과 니누려고 책으로 묶어냅니다. 들꽃, 너를 닮고 싶구나 논둑길 산등성이 외롭게 살면서도키 크고 화려한 꽃 부러워하지 않는비바람 몰아쳐 괴롭고 힘들어도맑은 얼굴 환하게 웃으며 살아가는 들꽃, 너를 닮고 싶구나너를 닮고 싶구나 꽃가루와 꿀은 벌나비 너 가져라조그만 향기마저 바람한테 나눠주는아름다워라 들꽃나도 너처럼 살아갈래 전쟁은 … 들꽃은 스스로 자란다 | 들꽃, 너를 닮고 싶구나 더보기

아이들은 자연이다 | 세상에 가장 좋은 학교? 자연 속 홈스쿨!

아이들은 자연이다. 귀농부부 장영란•김광희. 289쪽아이와 함께 크는 교육 이야기 남이 하는 걸 무작정 쫓다 보면 호기심을 잃어버리고 나중에닌 자신감마저 잃어버리기 쉽다.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가 아름다울 수 있는 건 자기 빛깔로 자라기 때문이리라. 아이들 역시 자기 빛깔로 자랄 때 아름답지 않을까. 뭐 아등바등할 거 있나!산골에 살아보니 돈을 많이 가진 사람, 직장이 좋은 사람이 아닌, … 아이들은 자연이다 | 세상에 가장 좋은 학교? 자연 속 홈스쿨! 더보기

“살아온 경험 때문에 많이 오염됐어요. 이 나이에 편견이 없다면 거짓말입니다.”

‘모든 아이들은 천재로 태어난다’ 틀에 박힌 삶의 굴레를 벗어날 수 있는 용기를 길러주기 보다는 점점 더 스스로 그 틀에 옥죄게 만드는 교육, 모든 아이들을 ‘평준화’라는 그럴듯한 명분으로 천재들을 바보로 만들어버리고 있는 것 아닌지… “살아온 경험 때문에 많이 오염됐어요. 이 나이에 편견이 없다면 거짓말입니다.” 더보기

공정하다는 착각 | 능력주의의 폭정? ‘기회의 평등’은 불평등을 더욱 초래할 뿐이다!

공정하다는 착각. 마이클 샌델. 353쪽The Tyranny of Merit능력주의는 모두에게 같은 기회를 제공하는가 ‘기회의 평등’은 기껏해야 부분적 이상, 누구나 주어진 ‘조건에 관계없이’ 존엄한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조건의 평등’이 필요하다. 능력주의에 따르면, 만일 당신이 대학에 가지 않아 이런 새로운 경제 환경에서 성공하지 못하면 그 실패는 바로 당신의 잘못이 된다….그런데 정말로 학위가 없고 성공하지 못한 자는 업신여김을 받아 마땅한가? … 공정하다는 착각 | 능력주의의 폭정? ‘기회의 평등’은 불평등을 더욱 초래할 뿐이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