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학교에서 배운 101가지. 매튜 프레더릭. p101
선은 이렇게 그린다
처음과 끝을 강조. 그래야 분명하고 힘 있는 선을 종이 위에 남길 수 있다. 선 끝을 애매하게 마무리하면 드로잉 자체가 힘없고 애매하다. 처음과 끝에 작은 점을 남기도록 연습
선들이 만나는 곳은 약간 겹치게.
스케치할 때도 선을 조금씪 잇지 않도록 주의. 짧은 선들을 이어서 전체를 애매하게 만들지 말라.
우리는 감춰진 공간을 이동하며 드러난 공간에 머문다
건축 공간의 모양과 질은 인간의 겅험과 행위에 큰 영향을 미친다. 인간은 건물의 형태를 만드는 벽이나 지붕, 기둥이 아니라 공간에 머문다. 드러난 공간은 사람들이 머물고 활동하는 장소. 사람들은 감춰진 공간에 머물러 있기보다 계속 이동한다.
“건축이란 심사숙고하며 공간을 창조하는 것이다.”-루이스 칸
건축 공간의 경험은 그곳에 어떻게 도착하느냐에 크게 좌우된다
높고 밝은 공간은 천장이 낮고 조명이 어두운 공간과 대조될 때 더 높고 밝다는 느낌을 준다. 기념비적인 공간이나 신성한 공간은 순서상 맨 끝에 배치될 때 더 깊은 인상은 남긴다. 북향의 공간을 통과하여 남향 창문이 있는 방에 도달한 사람은 훨씬 강한 인상을 경험한다.
디자인 아이디어가 구체적일수록 호소력이 크다
모두에게 호소하려고 무난하게 하면 아무에게도 다가갈 수 없다.
건축가는 모든 것 중 일부를 알고 있다. 엔지니어는 하나에 대한 모든 것을 알고 있다.
걸작의 성공은 실수로부터 자유로운 것에 있다기보다는 모든 관점을 완전히 정복한 그 엄청난 설득력에 있다.
순서대로 그려라
무언가를 그릴 때는 종이의 한쪽 끝에서 반대쪽 끝까지 모든 디테일을 100% 채우려고 하지 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