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턴 랭귀지. 크리스토퍼 알렉산더,사라 이시가와, 머레이 실버스타인. p1095
『패턴 랭귀지』는 도시·건축 설계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였으며, 컴퓨터공학 분야의 디자인 패턴과 XP 운동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패턴 랭귀지』는 건축과 계획에 대하여, 완전히 새로운 사고방식으로 기술한 세 권의 책 중에서 두 번째 책이다. 이 책의 목적은 건축·건설·계획에 대한 현재의 개념을 대신하고, 실제로 적용할 수 있는 완벽한 대안을 제공하고 그 점진적으로 발전해 나가기 위함이다.
사람은 스스로 자신의 집, 거리, 커뮤니티를 설계해야 한다는 생각이 이 책의 핵심 아이디어다. 급진적인 생각일진 모르겠지만, 연구에 의하면 이 세상의 모든 아름다운 곳은 건축가가 아니라 그곳에 사는 인간에 의해 창조되었다. 그리고 그 인간이 환경을 설계하는 데는 항상 일정한 ‘랭귀지’가 필요하다는 것이 이 책의 핵심 내용이다. 이 책은 이런 종류의 언어를 알려준다. 이 ‘랭귀지’를 사용하면 어떠한 환경이나 건물 설계라도 거의 할 수 있다.
7 전원
사유지는 약탈이다? 토지는 인류라는 거대한 가족의 것이다. 오래전에 그곳에 살았던 많은 사람들과, 지금 살고 있는 소수의 사람들, 그리고 앞으로 태어날 수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것이다
8 하위문화들의 모자이크
동질적이고 구분되지 않는 현대 도시의 특성은 생활 방식의 다양성을 없애고, 개성적인 성장을 막는다
9. 분산된 일터
집과 일터의 인위적인 분리는 사람들의 정신 생활에 커다란 균열을 발생시킨다.
일터의 집중과 분리는 근린 파괴의 원인이 된다(숲이나 정원 대신 거대한 주차장으로)
10 도시의 매력
거대한 도시의 매력을 즐기지 않는 사람은 거의 없다. 그러나 도시의 무분별한 확장에 의해 운이 좋거나 도시 중심부 가까이 살만한 경제적 여유를 가진 사람 이외의 모든 사람들은 도시의 매력을 즐길 수 없게 되었다.
11 지구교통구역
자동차는 인간에게 놀랄 만큼의 자유를 제공하고 기회를 증대시킨다. 그러나 동시에 환경을 파괴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는 너무 급격하기 때문에 모든 사회생활을 파괴하기도 한다
12 7,000명의 커뮤니티
커뮤니티가 5,000~10,000명 이상이라면 개인의 의견이 반영되지 못한다.
17 순환도로
현대사회에서 고속도로의 필요성을 부정할 수는 없다. 하지만 보다 중요한 것은 커뮤니티나 전원을 파괴하지 않도록 고속도로를 배치하고 건설하는 것이다
21 4층 제한
도시 내에서 건물의 밀도가 가장 높은 지점이라 할지라도, 모든 건축물이 높이 제한을 따라야 할 분명하고도 인간적인 이유가 존재한다.
고층 건물이 사람을 미치기 한다는 수많은 근거가 존재한다
고층 건물은 은행과 건물주에게 투기적인 이익을 제공한다는 것 이외의 진정한 이점은 없다
22 9퍼센트의 주차장
간단히 요약하자면 주차를 위한 공간이 너무 많은 곳에서는 주차장에 의해 토지가 파괴된다
전체 면적의 9퍼센트 이상이 주차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그곳을 사용하기에 적합한 환경으로 만드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개략적인 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23 평행도로
여러 면에서 우리는 분명히 자동차를 빨리 달릴 수 있도록 하기보다는 자동차를 배제하기를 원한다
도로 네트워크의 속도를 원활하게 하는 간단한 방법? 반대 노선을 가로지르는 좌회전 운행, 사거리와 좌회전을 없앤다!
47 건강센터
의사들은 사람이 아파야 수입을 얻기 때문에, 병을 치료하기보다는 오히려 병을 만들려는 경향이 있다
사람들의 진정한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건강관리 시스템에서는 병이 아니라 건강에 중점을 둔다
51 녹지 가로Green Streets
세상에는 뜨겁고 딱딱한 아스팔트 도로가 너무 많다. 건물로의 접근에만 사용되는 지구도로는 자동차 바퀴가 지나가는 자리에 약간의 석재포장만 있으면 된다. 이것으로 충분하다. 즉, 지구도로 면적의 대부분을 녹지로 만들 수 있는 것이다.
75 가족
핵가족 그 자체만으로는 올바른 사회 형태가 아니다
91 여관
여관은 밤에 사람들이 모여 함께 먹고 마시고 카드놀이를 하면서 재미있는 경험을 할 수 있는 훌륭한 장소였다. 그러나 현대적 모텔에서는 더이상 이러한 경험을 할 수 없다.
94 공공 공간에서의 수면
사람들이 공원이나 로비 또는 포치에서 잠시 잠을 잘 수 있을 때, 이 장소는 제대로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98 동선의 영역
많은 현대식 복합건물에서 방향감각 상실은 심각한 문제이다. 사람들은 자신이 어디에 있는지 모르고 결국엔 심각한 정신적 스트레스를 경험한다
103 소규모 주차장
거대한 주차장은 사람들이 사용해야 할 토지를 파괴한다
104. 대지의 정비
대지 내에서 건물을 배치하는 장소는 대지에서 가장 좋은 장소가 아니라 가장 좋지 않은 조건을 가진 장소여야 한다.
무슨 일이 있더라도 가장 아름다운 장소에는 건물을 짓지 않는다. 사실, 그 반대로 해야 한다. 대지와 대지 내의 건물들을 하나의 살아 있는 생태계로 생각한다. 가장 귀중하고 아름다우며, 편안하고 건강한 장소는 그대로 남겨 두고 대지에서 가장 좋지 않은 장소에 건물을 짓는다.
107. 채광
오늘날, 수많은 건물은 자연채광을 고려하지 않은 채 만들어지고, 대부분 인공조명에 의지한다. 그렇지만, 주 광원이 자연광이 아닌 건물은 낮 시간을 보내기에 적합한 장소가 아니다.
만약, 이 같은 간단한 주장을 진지하게 받아들인다면, 이는 건물 형태에서 혁명을 가져올 것이다. 오늘날에는 인공조명을 광원으로 하는 실내 공간을 이용하는 것이 당연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러므로 어떠한 형태의 건물을 만들어도 괜찮다고 그리고 안길이가 긴 건물을 만들어도 괜찮다고 당연히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우리가 자연광의 존재를 선택이 아닌 실내 공간의 필수적 특징이라고 생각한다면, 어떤 건물의 안길이도 6~7.5m 이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건물의 안길이가 2.6~4.5m를 넘어가면 건물 내의 어떤 장소라도 양호한 자연채광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나의 창문이 아니라, 두 면에 각각 하나씩 창문을 설치해야 한다.
108. 연결된 건물들
단독건물은 단절된 병든 사회의 징후이다.
건물 주변에 작고 필요 없는 공간을 남기게 되는 단독건물이 모여 있는 도시는 단절되고 고립된 자아들로 이루어진 사회상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새로운 건물은 가능한 모든 곳에서 주변의 기존 건물과 연결한다. 건물 사이를 비우는 대신에, 새 건물이 기존 건물들과 연결되도록 한다.
109. 기다란 주택
작은 건물에서는 모든 방을 다닥다닥 붙어 있지 않도록 한다. 방과 방 사이의 거리가 최대한 멀게 한다.
110. 주 출입구
출입구는 무의식적으로 찾을 수 있어야 한다
111. 반쯤 가려진 정원
건물의 정면이나 후면에 정원을 배치하지 않는다. 정원을 주택의 측면, 즉 거리에 대해서 반쯤은 숨겨져 있고 반쯤은 노출되어 있는 중간적인 위치에 배치하도록 한다.
112. 출입구의 전이
전시장에 오랜 시간 머문 관람객들? 급작스런 변화를 피할 수 있는 전이!
가장 중요한 것은 전이 장소가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의 사이에 실제적이고 물리적으로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128. 실내 채광
실내의 분위기를 크게 좌우하는 요소 중에서 실내로 들어오는 햇빛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
동서 방향으로 긴 건물이 최적
134. 선Zen 조망
조망 창이 적절하게 배치된다면, 사람들은 창 가까이 다가가거나 혹은 앞을 지나칠 때 먼 조망의 한 순간을 보게 될 것이다. 그러나 조망은 사람들이 머무는 곳에서는 절대 보여서는 안 된다.
135. 명암의 태피스트리
내부 조도가 획일적인 건물은 좋은 무대가 될 수 있는 ‘장소’가 거의 없다. 왜냐하면 좋은 무대가 되는 장소는 주로 빛에 의해 규정되기 때문이다.
138. 동쪽을 향한 침실
이번 패턴은 사람들이 가장 공감하기 어려운 패턴 중의 하나이다. 하지만 우리는 그들이 실수하고 있다고 믿는다? 생물학적 시계와 일치된 수면
141. 자신의 방
혼자가 되는 기회를 자주 갖지 못한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 가까워질 수 없다
156. 안정된 일
안정적인 일의 경험은 노년기에 있어서 마음의 평화를 위한 전제 조건이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직장생활과 퇴직, 직장과 가정 사이를 갈라 놓아 이같은 경험을 약화시킨다.
167. 6피트의 발코니
안길이 6피트 이하의 발코니와 피치는 거의 사용되지 않을 것이다
168. 지면과의 연결
주택의 바닥이 주위의 대지와 직접적으로 관계하지 않으면, 집은 자연으로부터 고리되었다는 느낌을 줄 것이다
178. 퇴비
오늘날의 오물처리 방식은 엄청난 양의 물을 오염시키고, 건물 주변의 토지에 필요한 영양분을 빼앗아간다(자연을 꿈꾸는 뒷간)
181. 불
불의 대용품은 없다. 텔레비전은 아주 미약한 대용품에 지나지 않는다.
190 다양한 천장고
천장고가 모두 같은 건물은 사실상 사람을 편안하게 할 수 없다
좋은 비율의 3원칙? 천장고는 방의 길이와 너비 사이에 있어야 한다!
197 두꺼운 벽
집의 정체성은 벽에 의해 결정된다
199 양지바른 부엌 조리대
어두운 부엌은 사람을 우울하게 한다. 부엌은 다른 공간보다 더 많은 채광이 필요하다
200 개방된 선반
너무 깊은 천장은 소중한 공간을 낭비한다. 또한 원하는 것이 항상 다른 물건 뒤에 있다고 느끼게 한다
202 붙박이 의자
붙박이 의자는 매우 훌륭하다. 때문에 모든 사람들이 붙박이 의자를 사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