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인 비즈니스 혁명. 정지훈@hiconcep. p295
제조, 유통, 서비스의 미래
“전 세계에 컴퓨터는 다섯 대만 있으면 된다.”-IBM회장(60~70년대)
‘다음 산업혁명, 원자들의 새로운 비트다In the Next Industrial Revolution, Atoms are the New Bits‘-[Wired,Chris Anderson]
***꿈은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진다
[또 한 번의 권력이동, 소셜웹 혁명]
과거 산업혁명을 통해 에너지와 내연기관에 의한 생산성 혁신이 일어난 것이나, 철도와 같은 교통인프라가 사회전체를 변화시키는 과정을 보면 초기에는 이런 변화가 가지고 있는 사회 전반의 영향력을 이해하고 있던 사람은 별로 없었다.
#나노경제학의 시대, 변화의 원동력
프로슈밍, 롱테일, 바이럴
소비자 중심의 사회, 소비자가 원하는 것은?
산업혁명, 대량생산 -> 상품이 경제의 기본
#모든 것은 경험의 가치로 치환할 스 있다!
경험? 우리의 반응!
***경험경제 시대의 핵심은 진정성Authenticity!!!-Joseph Pine의 TED강연: 소비자는 무엇을 원하는가?
***진정성은 광고로 만들어낼 수 없다!!
신뢰와 경험경제의 시대
#미래의 경제학 이론, 나노경제학
소비자 개개인의 필요에 정확히 부응하는 서비스와 정보 제공, 개인 및 소량 단위 거래 규모 확대
나노경제학=롱테일+바이럴+링크(네트워크)+매시업+알파, (거시/미시/나노경제)
#슈퍼마켓에서 시작된 프로슈밍!!!
Clarence Saunders, 셀프서비스 슈퍼마켓? 소비자가 점원 역할한다!
아마존, 최고의 무보수 프로슈머 생산성 이용하는 기업! 정보만 나열할 뿐! 유통활동은 소비자들에게 맡기고 있다, 그럼에도 이를 불편해하는 사람들이 거의 없다!
프로슈머 경제는 소리 소문 없이 우리의 일상을 점령하고 있다
#레고, 프로슈머가 함께 키우는 기업
공짜로 일해주는 수많은 연구개발자들
마인드스톰의 고객중심의 개발 방식!
*소비자들은 단순히 돈만 내는 대상으로 보기보다는 협력과 상생을 하는 동료로 보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롱테일은 유통과 시장을, 바이럴은 광고와 마케팅의 새로운 원칙!
Connect with Fans(CwF)+Reason to Buy(RtB)=The Business Model
-Mike Masnik, techdirt.com
*공연촬영허가, 무료 MP3? 팬들이 홍보하는 사람으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최대한 배려!
#트렌트 레즈너와 나인인치네일즈
그는 음악을 공짜로 풀었지만 이를 통해 팬들과의 커넥션을 강화하고, 팬들로 하여금 자신을 위한 무언가를 사고 싶어 하는 의지를 갖게 했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상품을 내놓았다.
Lady Gaga
그렇지만 하나만 잘하는 사람들이 성공하라는 법은 없다(generalist)
#소셜웹, 제조와 유통 혁명의 인프라가 된다
인터넷의 핵심 키워드-소셜, 모바일, 실시간
#소셜웹은 경험을 업그레이드 시킨다
결국 좋은 경험을 어떻게 많은 사람들과 동시에 공유할 수 있는가를 고민해야 하는 것이다
#소셜웹은 중소, 지역기반 비즈니스에 기회 요인
대형 유통업체들이 제공할 수 없는 전략적 사고를 한다면 중소 규모의 기업, 자영업자들에게도 성공의 기회가 주어질 수 있다는 자신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저작권! 유튜브를 둘러싼 Viacom과 소니, 유니버셜의 엇갈린 명암
DMCA(Digital Millennium Content Act)의 ‘안전한 항구(safe harbor)’
저작권의 지나친 확대적용에 따른 창조와 혁신 과정의 퇴보!
*인간의 탐욕, 가장 큰 문제는 지식이 과도하게 사유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특허? 결국 남이 해놓은, 그리고 역사가 이룩해놓은 데이터와 자료, 그리고 경험에 접근해서 이를 바탕으로 진보를 이끌어내는 것이 과학이고 창작이다!
#책상 위 공장, 개인화 제조 혁명의 시대
디지털 패브리케이터digital fabricator
#3D 프린터가 이끄는 새로운 산업혁명
***혁신의 원동력으로 가장 중요한 요소? 쉽고 싼 것(cheap!)
#가상계와 현실계의 통로!
날로 높아만 가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련 기술의 중요성!!!
애플의 아이폰! 사람들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깨닫게 해주었다
증강현실, QR코드의 활용, RFID
“증강현실은 현재 자신의 위치와 지금 자신이 하고 있는 일의 맥락(context)과 관련한 종류의 미디어가 자신의 현실을 증강하거나 더 낫게 보여주도록 하는 것이다.”
***증강현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 경험이다!!
#서비스 패러다임
소유에서 사용의 즐거움으로, 판매가 아니라 관계 구축으로, 소비에서 참여로
고객이 경험을 디자인하라!
A-ha, Wow! 애플스토어!
***결국 중요한 것은 우리가 얼마나 건강하고 행복할 수 있으며, 후대를 위해 어떻게 교육을 하고, 안전할 수 있는지와 같은 기초적인 것들이다. 변화가 클수록 기초에 충실한 것이 중요하다(본질적인 가치를 경험으로 통합!)
Ponoko, DIY on-demand 제작 시스템
#알리바바, 세계를 중국과 연결하다
중국 소규모 공장들을 세계의 공장으로 만든 알리바바(손정의 회장의 창업지원)
C to B, Consumer to Business
주문형 생산, 제조2.0의 인프라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넘어 오픈소스 하드웨어로
Adafruit, Beagle Board, Bug Labs, Maker SHED,..
#고객에게 디자인을 맡겨라! Blank Label과 Threadless.com
#4food.com, 햄버거2.0! 자신의 메뉴 전파
#갑작스런 확장의 기회? 덫!
바이럴 루프, 확장의 전략 준비하라
#세상은 상품을 경험하는 곳, 고객평가와 Wow입소문의 힘!
유통! 소셜은 선택이 아닌 필수!!!
페이스북의 ‘Like’버튼!
온라인 매장의 소셜화, 소셜 구매정보 공유 서비스 등장shop socially
#소셜 커머스, 소셜 소비자, 소셜 화폐
소셜 소비자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구별하지 않는다
매장을 들르고 싶은 곳으로 만들라! 애플스토어 따라하기
역시 생각한 것은 이루어지는 세상!!
결국 중요한 것은 “어떻게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이는가?”
미래경영의 원칙? 개방형 리더십, 창조적 혁신, 돈보다는 행복을 추구하는 사회
인터넷과 현실이 만나는 물리적 웹, 라이프웹 시대
분산, 참여, 공유의 웹2.0
차세대 인터넷의 키워드? 실시간, 개인화, 사용자 인터페이스
공급이 아닌 정보를 소비하는 소비자쪽의 필요성 증대되고 있다
TQM(총체적 품질 관리)에서 TEM(총체적 경험관리)의 시대로
그 어느 때보다 고객들과의 접점이 중요하다
브랜드 관리? 제품이 아니라 사용자 혁신 플랫폼이다
개방형 리더십의 시대, 컨트롤이라는 권력을 내려놓는 자신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개방형 리더십]
디자인 씽킹과 미래의 관리 패러다임
인간중심적이면서 투명하고 직관적이며 보다 즐겁고 많은 사람들이 보편타당하게 받아들일 수 있눈 가치 중시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게 될 것이다
***앞으로는 경험이 가장 중요하다
#구체적인 행동의 원칙을 세운다
-결과를 만드는 일을 한다
-자신이 정말 좋아하는 사람들과 일을 한다
-새로운 곳에 가고, 새로운 사람을 만난다
-고객을 자주 만난다
-실패를 두려워하지 마라
#한계를 명확히 인식하고 필요하면 변신하라
#돈보다는 장기적인 영향력을 염두에 둔다
좋은 사람들과 사회적 가치를 만드는 일을 즐겁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강한 네트워크가 없다면 좋은 기회를 얻기 힘들다
#회사는 돈이 아니라 행복이 넘치는 공간이어야 한다
[딜리버링 해피니스] 재포스!
자본주의 사회에서 미래의 행복 중심 사회로
결국 고객을 행복하게 만들기 위해서는 직원들이 행복해야 하고, 행복을 연습하고 느낄 줄 아는 사람들이 행복을 전파하고 전달할 때 고객들이 진심을 느낄 수 있다는 진리를 다 같이 터득한 회사가 되었다.
채용기준? 업무적합성과 함께 문화적합성도 함께!
Do More with Less
일과 인생을 통합하는 회사
조셉 파인의 TED 강연: “소비자는 무엇을 원하는가?”